특강1 성공하는 삶(Life)의 개요(槪要)

2007. 8. 11. 20:16성공하는 삶

 

성공하는 삶(풍성한 삶)


제1특강 성공하는 삶(Life)의 개요(槪要)

 

 김준호 회장은 學術, 宗敎, 人性, 健康, 企業體 講義등 4090회 정도의 강의를 하였으며 특히 5H Newstarting운동의 강사로 유명하다. 전문 강사그룹 21포럼의 위원이며 강사 교육 센타의 소장을 역임했고 현재 국제대경그룹 회장이며, 국제시인이며, 신문사 논설위원이다.

 

"성공" 말만 들어도 가슴이 퍽차고 기쁜 말이다.  

 성공(success)의 사전적 의미는 ‘목표(focus)를 정하여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공(功)들여 이루(成)는 것’이라고 풀이되어 있다. 우리 인간들은 성공하는 삶을 살기 위하여 크게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과학, 예술 등의 측면에서 목표를 정하고 목적을 정하고 프로잭트를 만들어서 국가적 차원 혹은 사회 단체적 차원 혹은 교육 기관의 차원 등 많은 분야에서 많은 석학들이 연구하고 노력해 왔으며, 작게는 개인의 측면에서 목표를 정하고 목적을 정하고 프로잭트를 만들어 성공하기 위하여 혼신의 노력을 다하여 그 중에는 성공한 국가도, 사회단체도, 교육 기관도 개인도 있었고 실패한 국가도, 실패한 사회단체도, 실패한 교육 기관도 있었다.

 

 김준호 회장은 특강을 통하여 성공하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매일 매일 다음의 사항들이 실행되어 튼튼한 삶의 수레바퀴를 힘차게 굴릴 때 성공하여 풍성한 삶을 살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성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생활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역설하신다.


(1)중심에 그리스도를 모시고

(2)영의 양식 말씀을 매일 섭취하며

(3)쉬지 말고 기도하며

(4)영적 사람들과 교제를 하며

(5)그리스도를 증거하며

(6)하나님께 순종하는 생활을 하는 것이 성공의 비결이라고 강조한다.


그리스도인이 아닌 사람이 소위 세상에서 성공하였다고 하는 사람들은 역시 다음과 같은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사람들이었다는 점을 강조하신다.


(1)자기의 불굴의 인내력을 가진 자기를 중심에 놓고

(2)지혜가 새 출발하였다고

(3)사랑이 새 출발하였다고

(4)근면이 새 출발하였다고

(5)건강이 새 출발하였다고

(6)도움이를 잘 선택하여 정성을 다하여 섬겼다고 역설하신다.



 김준호 회장은 인간의 삶의 형태를 3가지로 분류했다.

 

(1)창조주를 인정하고 그리스도를 자기의 삶의 주인으로 모시고 살아가는 사람 곧 크리스천이다.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에 이르게 하려 하심이니라.”(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요한복음3:16)

 

(2)창조주를 인정하되 필요할 때는 그리스도를 자기의 주인으로 인정하고 필요 없을 때는 자기 스스로 주인으로 살아가는 사람 곧 종교인 이다.

 

(3)창조주를 인정하지 않고 오로지 자기 자신만을 믿고 자기가 주인이 되어서 자기의 의지대로 살아가는 사람


 3가지 형태의 삶으로 구분하여 어떻게 하면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성공하여 풍성한 삶을 살 것인가 김 회장 자신의 경험과 성공한 사람들 세계 각국의 121인을 모델로 분석한 바를 서술하려고 합니다.

 

특강 내용을 요약합니다.

 

결론적으로 성공하여 풍성하게 사는 크리스천은

 (1)중심에 그리스도(Christ in Center)를 모시고

(2)기도(Prayer)의 생활

(3)말씀(Word) 읽기의 생활

(4)전도(Witness)의 생활

(5)교제(Fellowship)의 생활

(6)순종(Obedience)의 생활을 쉬지 않고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중에 한 가지라도 빠진 생활을 할 경우 풍성한 삶을 살 수가 없다.

 

크리스천은 아니지만 그래도 세상에서 성공했다고 하는 사람들의 생활은 아래와 같은 생활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작게는 개인적 차원에서 성공한 사람도 있었고 실패한 사람도 있었다. 물론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반인륜적인 목표는 세우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세계적으로 성공했다고 하는 기업과 개인을 분석해 보면 일관되게 다음의 5가지가 새 출발(Newstarting)하여 지속적으로 활동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1)지혜(Head)(智慧)(Wisdom)가 새 출발 

(2)사랑(Heart)(慈悲)이 새 출발

(3)부지런함(Hand & Foot)(勤勉)이 새 출발

(4)건강(Health)(健康)이 새 출발

(5)기도(Helper)(祈禱)가 새 출발

(6)겸손한 자기의 중심이 새 출발


 내세적 영생(Eternal Life)의 무한한 삶을 인정하지 아니 하더라도 유구한 역사 속에서 우리 사람이 생존하는 기간은 잘하면 80세이요 더 잘하면 153세(김 회장이 이 세상에 생존하고자 희망하는 기간이다)이다. 무한한 역사성과 내세적 관점에서 본다면 인간의 생존 기간은 한 개의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다.


 현세는 잠간 -------------------> 영원한 세상 (영생의 삶)     

    70~80년 정도의 세상에서의 삶      천국에서의 삶

 

1.세상에서의 부귀영화추구

2.살인, 전쟁, 분쟁, 시기, 질투, 속임수 등

3.권력, 지위에 대한 욕심

4.사소한 것에 목숨을 걸고 악착 같이 살아 간다

5.남을 망하게 하고 자기가 사는 삶

6.수천억을 벌고 수 백 명의 첩을 거느렸다고 하자

7.얼굴이 잘 생기고 몸매가 좋아서 거기다 스타덤에까지 올랐다고 하자


 이 세상에서 바라던 것들을 모두 쟁취하여 성공했다고 하자 그러나 오래 사는 것에 대하여서는 그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아쉬움을 갖고 관속에 누워가야만 한다. 실패자로 죽어 가는 것이다. 다행히도 세상에서 성공한 사람이라고 한다면 사실은 그렇게 세상에서 성공하지 못하고 실패한 사람이 더 많지만, 성공했다고 말하는 자의 후대가 편리하게 살다 가는 점에 있어서는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막상 본인은 아무것도 가지고 가지 못한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보람차고 풍성한 삶, 즉 성공한 삶을 살다 갈 것인가? 라는 점에 관하여 생각해 보아야 한다.